1
중국의 GDP는 112,119억$ 세계 2위 (IMF 2015 기준)
실질경제성장률 | 7.4%(2014), 7.5%(2015) | |
1인당 명목소득 | 6,747달러(2014), 8,154 달러(2015), | |
실업률 | 4.1%(2014), 4.05%(2015) | |
화폐단위 | 위안(元 / Yuan, CNY) | |
소비자물가지수 | 113.3%(2013), 111.1%(2014) | |
환율 | CNY 1 : KRW 179.93(2015.11), CNY 1 : USD 0.16(2015.11) | |
총 외채 | 8,955억달러(2014). 8,047억 달러(2015.03) | |
외환 보유고 | 38,430억 달러(2014), 37,300억 달러(2015.05) | |
교역 규모 |
| |
교역품 |
|
|
2
석유화학과 건설 부분의 매출 비중이 높게 차지하고 있음
- 중국 시총 100대 기업 매출을 조사한 결과 석유화학 및 건설 업종 매출 비중은 무려 70.7%를 차지하고 있으며, 다음은 철강 및 자동차·부품(6.0%)→에너지(3.6%)→운송(3.4%)→조선기계설비(2.7)→통신(2.4%)→유통·IT·전기전자(1.1%) 순으로 나타남

1 | 석유화학 | 46.20% | 42.30% |
2 | 건설 | 24.50% | 19% |
3 | 철강 | 6.00% | 0.00% |
4 | 자동차. 부품 | 6.00% | 7.40% |
5 | 에너지 | 3.60% | 11.10% |
6 | 운송 | 3.40% | 5.30% |
7 | 조선, 기계설비 | 2.70% | 1.90% |
8 | 통신 | 2.40% | 2.20% |
9 | 유통 | 1.10% | 0.60% |
10 | IT전기전자 | 1.10% | 1.80% |
11 | 상사 | 1.00% | 0.60% |
12 | 식음료 | 0.80% | 4.10% |
13 | 기타 | 0.80% | 2.20% |
14 | 제약 | 0.30% | 1.00% |
15 | 서비스 | 0.20% | 0.50% |
16 | 생활용품 | 0.00% | 0.00% |
3
주요 도시 지역별 특성
경제 | ![]() |
![]() |
![]() |
4
중국 산업 동향
>중국의 산업육성 정책 변화
>중국의 산업육성 정책 변화

5
중국의 산업구조 개편
중국 정부는 2008년 금융위기로 세계경기가 위축되자 민간내수 확대를 주요 정책목표로 삼고 성장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하고, 2012년 7월 제 12차 5개년 경제 발전 계획에서 7대 신성장 사업 및 20개 세부 산업을 발표함
>7대 신 성장 산업>
1)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
2) 차세대 정보기술
3) 바이오
4) 첨단장비 제조
5) 신 에너지
6) 신소재
7) 신 에너지 자동자
>7대 신 성장 산업>
1)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
2) 차세대 정보기술
3) 바이오
4) 첨단장비 제조
5) 신 에너지
6) 신소재
7) 신 에너지 자동자
조제 및 금육지원 |
•전략적 신성장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 기금 마련 (핵심 R&D, 혁신발전 및 응용시범 프로젝트 등 지원) •회사채, 단기융자채권, 중기어름, 및 중소기업 공동어음 발행규모 확대 신성장산업에 대한 금융기관 지원 강화 •차스닥 시장제도 완비 및 관련 기업의 상장 융자 지원 •전략적 신성장산업 창업 활성화 기금 설립 |
기술혁신 및 인재양성 |
•신성장산업 기술혁신 및 지원 서비스 체계 구축 •중국 기업 지적재산권의 해외 권익 보호 및 분쟁해결 체계마련 •지적재산권 이전거래 및 자산평가 체계 구축 •해외 우수인력 및 기업의 중국내 혁신 창업 유도 •고등교육기관 및 중등 직업학교에 신성장산업 관련 전공학과 개설 |
시장집입(창업) 지원 및 사업친화적 환경 조성 |
•녹색.정보.복지 소비 장려 > 소비구조 업그레이드 촉진 •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고, 신에너지,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등의 시장 육성 및 주도적 지위 강화 •신성장산업의 시장진입 허가신청 및 관리절차 간소화 •신성장산업의 외국인투자 적극 유치 및 환경개선 •해외상표등록, 해외 M&A 등을 통해 글러벌 브랜드 육성 •수출관련 신용대출 및 보험 정책완비 |
중점분야 및 핵심부분 개혁 추진 |
•오영배출권, 에너지절약 관리제, 탄소배출거래제도 수립 •환경보호세 및 자원세 제도 추진 > 녹색소비 유도 •환경보호제품 인증체계 및 재활용제품 표시관리제 구축 •바이오 안전고나리 강화, 약품 및 의료기기 등록관리 등 •민간 항공산업 법제 제정, 위성 응용 데이터 관련 법규 개선 •재생에너지 의무발전할당제(RPS)실시 등 |
댓글
댓글이 없습니다.